맨위로가기

마유미 아키노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유미 아키노부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1973년부터 1995년까지 선수 생활을 했다.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를 거쳐 한신 타이거스에서 활약했으며, 1978년 유격수, 1983년과 1985년에는 2루수와 외야수 부문에서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다. 1983년에는 수위 타자를 차지했고, 1985년 일본 시리즈 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은퇴 후에는 야구 해설가,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한신 타이거스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선수 - 송재박
    송재박은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에서, 한국에서는 OB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로 활동하며 우수 코치상을 수상했다.
  •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선수 - 히가시오 오사무
    히가시오 오사무는 니시테쓰 라이온스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NPB 최다 사구 기록과 '싸움 투구'라는 별명을 얻었고, 세이부 라이온스 감독 시절 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 한신 타이거스 - 후지무라 후미오
    후지무라 후미오는 오사카 타이거스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약하며 MVP를 수상하고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으며,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일본의 전 야구 선수이다.
  • 한신 타이거스 - 에가와 사건
    에가와 사건은 1970년대 후반 일본 프로 야구에서 에가와 스구루의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을 둘러싸고 발생한 일련의 사건으로, 규정 해석 논란, 드래프트 제도 문제, 구단 간 갈등 등 일본 야구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선수 - 송재박
    송재박은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에서, 한국에서는 OB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로 활동하며 우수 코치상을 수상했다.
  •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선수 - 가토 하지메
    가토 하지메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출신으로, 투수로서 19년간 활동하며 신인왕 수상, 노히트 노런 달성 등의 활약을 펼쳤으며, 은퇴 후에는 야구 해설가와 지도자로 활동하다가 직장암으로 사망했다.
마유미 아키노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신 타이거스 감독 시절 (2011년 3월 9일,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한신 타이거스 감독 시절 (2011년 3월 9일,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출생일1953년 7월 12일 ()
출생지후쿠오카현 오무타시 (출생지는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난칸정)
신장174cm
체중75kg
포지션외야수, 유격수, 2루수
투구/타석우투/우타
프로 입단1972년
드래프트 순위3순위
첫 출장1973년 5월 5일
마지막 출장1995년 10월 6일
선수 경력
아마추어덴덴규슈
야나가와 상업 고등학교
프로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크라운 라이터 라이온스(1973-1978)
한신 타이거스(1979-1995)
감독/코치 경력
코치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2000-2004)
감독한신 타이거스(2009-2011)
타격 성적
타율0.285
안타1888
홈런292
타점886
수상
수상 내역센트럴 리그 타격왕 (1983년)
우승1985년 일본 시리즈 우승
감독 성적
승리213
패배206

2. 선수 경력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난칸정 출신으로, 초등학교 3학년 때 후쿠오카현 오무타시로 이사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같은 동네에 살던 하라 미쓰구(하라 다쓰노리의 아버지)가 감독으로 있던 미이케 공업고등학교가 고시엔 대회에서 우승하는 것을 보고 야구 선수가 되기로 결심했다.

야나가와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인 야구팀인 덴덴규슈에서 활동했다. 1972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3순위로 지명을 받아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에 입단했다. 외야수로 활약하다가 1978년에 유격수로 수비 위치를 변경했고, 같은 해 베스트 나인(유격수 부문)에 선정되었다.

1978년 시즌 후, 다케노우치 마사시, 다케다 마사후미, 와카나 요시하루와 함께 다부치 고이치, 후루사와 겐지를 상대로 한신 타이거스에 트레이드되었다. 이 트레이드는 한신 팬들에게는 팀의 손해라는 평을 받았다. 한신 이적 후에는 장타력을 갖춘 1번 타자로 활약하며, 1979년 5월 20일에는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했다. 1983년에는 타율 .353으로 타격왕 타이틀을 차지했고, 베스트 나인(2루수 부문)에도 선정되었다. 1985년에는 오카다 아키노부와의 포지션 변경으로 외야수로 전향했고,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하여 일본 시리즈 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1988년 개인 사무소인 ‘유한회사 오피스 마유미’를 설립했다. 1994년에는 대타로 출전하여 17개의 안타와 30타점을 기록하며 뛰어난 승부 근성을 보여주었다. 1995년 구단의 은퇴 권유를 고사하고 현역 연장을 희망했지만, 결국 은퇴를 결심했다. 통산 2051경기 출장, 1888안타, 292홈런, 타율 .285를 기록했다.

; 사회인 시대


  • 덴덴규슈


; 프로팀 경력



초구를 쳐서 홈런이나 장타를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 1회 선두 타자 홈런을 통산 41개 기록하여 후쿠모토 유타카에 이어 역대 2위 기록을 가지고 있다. 빠른 발과 견실한 수비를 갖춘 선수였으며, 유격수, 2루수, 외야수 세 포지션에서 베스트 나인을 수상했다. 3루수1루수 수비 경험도 있어 유틸리티 플레이어의 자질도 갖추고 있었다. 프로 입단 초기에는 주로 수비 강화 선수로, 전성기에는 중심 타자로, 후년에는 대타 요원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뛰어난 실력과 인기를 겸비한 선수였다.

2. 1. 프로 입단 전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난칸정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3학년 때 후쿠오카현 오무타시로 이사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같은 동네에 살던 하라 미쓰구(하라 다쓰노리의 아버지)가 감독을 맡은 미이케 공업고등학교가 고시엔 대회에서 우승했고, 그 우승 퍼레이드를 보고 감동받아 야구 선수를 꿈꾸게 되었다.[2]

레키기 중학교에 진학하여 본격적으로 야구를 시작했다. 야구부 외에 다른 운동부에도 참가했는데, 특히 육상부에서는 세단뛰기에서 11m 99cm를 기록하여 대회에서 2위에 입상하기도 했다.

야나가와 상업고등학교에서는 와카나 요시하루와 동기였다. 와카나는 중학교 시절 지역 라이벌 학교였던 하이누즈카 중학교에 재학 중이었고, 지구 대회 준결승에서 맞붙은 적도 있었다. 고등학교에서는 1학년 때부터 벤치에 들어갔고, 2학년부터는 유격수, 3루수로 주전 자리를 꿰찼다. 팀은 "큐슈 제일의 강호"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1970년 춘계 큐슈 대회 후쿠오카현 예선 남부 결승에서 오호리 고등학교에 패하는 등 재학 중 고시엔 출전은 이루지 못했다.[2]

고등학교 졸업 후 사회인 야구팀인 덴덴 큐슈에 입단했다. 덴덴 큐슈에서는 주전 유격수와 백업 선수의 부상으로 1년 차부터 주전 유격수로 뛰게 되었고, 제43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 8강 진출, 일본 산업 대항 야구 대회 출전 등의 활약을 펼쳤다. 이러한 활약으로 1972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니시테쓰로부터 3위 지명을 받았고, 이후 라이온즈의 경영을 인수한 후쿠오카 야구 주식회사와 계약했다. 1년 전에 입단한 와카나와 다시 동료가 되었으며, 등번호는 '''2'''번이었다. 담당 스카우트는 다케스에 시코였다.[3][4]

2. 2.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시절 (1973년 ~ 1978년)

1973년 5월 5일 닛타쿠 홈 플라이어스와의 경기(헤이와다이 야구장)에서 9회 초에 유격수 수비 보강으로 프로 첫 출장을 했다. 5월 15일 한큐 브레이브스와의 경기에서도 9회 말부터 유격수 수비 보강으로 출전했지만, 2개의 에러(기록상으로는 1개는 내야 안타)를 범했고, 다음날 2군으로 내려갔다.[2] 같은 해 7월부터 약 3개월 동안 미국의 1A 로다이 라이온스(Rancho Cucamonga Quakes)에 유학했다. 이 미국 유학으로 당시 일본에서는 그다지 행해지지 않던 웨이트 트레이닝을 연습에 추가하게 되었다.

1974년부터 등번호가 '''42'''로 변경되었다. 마유미는 스포츠 신문 기사로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 같은 해 23경기에 출전하여 프로 첫 안타를 기록했다.[2]

1975년에 당시 감독 에토 신이치에게 타격 재능을 인정받아 1군에 정착했다. 같은 해 프로 첫 홈런·첫 타점을 기록했다. 구단은 캠프에서의 성과에 따라 마유미를 해고할 생각이었으나, 이를 들은 에토가 "갈고 닦으면 빛나는 다이아몬드를 내버리는가"라고 구단에 항의하여 잔류하게 되었다.[2]

1977년에 후쿠모토 유타카가 사용하던 타입의 배트(소위 타이 콥식)를 사용하게 되었다. 같은 해에는 주로 중견수로 70경기에 선발 출장했다. 같은 해 시즌 후에 결혼하여 슬하에 3명의 딸을 두었다.[2]

1978년에는 5월부터 1번 타자, 유격수로 정착하여 첫 규정 타석(리그 18위, 타율 .280)에 도달했다. 같은 해 올스타전에 처음으로 선출되었고, 유격수 베스트 나인에도 선정되었다.[2]

2. 3. 한신 타이거스 시절 (1979년 ~ 1995년)

1978년 오프에 다부치 고이치, 후루사와 겐지와의 "세기의 트레이드"로 와카나 요시하루, 다케노우치 마사시, 다케다 가즈시와 함께 한신으로 이적했다(실제로는 다부치와 마유미, 와카나, 다케다와의 1대3 트레이드, 후루사와와 다케노우치의 1대1의 두 개의 트레이드가 성사된 형태로, 마유미도 그렇게 이야기했다). 마유미는 구단이 국토계획에 매각되어, 본거지가 후쿠오카현에서 사이타마현도코로자와시로 이전하게 되어 이사를 준비하고 있었다. 당초, 한신으로의 트레이드는 마유미가 아닌 나가에 야스시로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었고, 마유미는 세이부로 갈 젊은 선수들을 모은 추계 훈련에도 참가하고 있었지만, 한신의 신임 감독으로 취임한 돈 브레이저가 기동력이 있는 야수를 원했기 때문에, 나가에가 아닌 마유미가 되었다고 한다[8] . 트레이드는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처음 알게 되어, "센트럴 리그라면 이름도 팔리겠지"라고 생각했다고 한다[9] . 후에 구단으로부터 공식적으로 트레이드를 통고받았을 때는, 무심코 "감사합니다"라고 말해버릴 정도로 기뻤다고 후년에 회상하고 있다[10] . 한신으로 이적하기 전의 태평양 시대에 동료의 권유로, 고라쿠엔 구장의 요미우리 대 한신전을 관전한 적이 있었고, 만원 관중 앞에서 플레이해 보고 싶다고 느꼈다고 한다. 이적 후의 등번호는 '''7'''이 되었다.

이적 1년차인 1979년부터 1번·유격수로 정착했다. 장타력이 있는 1번 타자로서 이적 후에도 변함없는 활약을 보여, 그 해 5월 20일의 대 주니치 드래곤즈전(나고야 구장)에서는 사이클 안타를 달성했다. 이 경기에서는, 본인 두 번째의 1회 선두 타자 홈런을 날렸다. 그 해에는 125경기에 출장해, 본인 첫 두 자릿수 홈런인 13홈런을 기록했다[11] .

1980년에는 나카니시 후토시 타격 코치(동 시즌 도중부터 감독 대행)의 지도에 의해, 비거리가 잘 나오는 가늘고 가벼운 배트를 사용하게 되었고, 1번 타자이면서 센트럴 리그 5위 타이기록인 29홈런을 날렸다. 10월 12일에는 대 주니치전 더블헤더(나고야)에서 더블헤더 2경기 연속 1회 선두 타자 홈런을 달성했다.

1981년에는 부상의 영향도 있어 전년보다 성적이 떨어졌지만, 이듬해 1982년에는 130경기에 출장했다. 그 해에는 타율 .293으로, 첫 타격 베스트 텐 진입(10위)을 달성했다.

1983년에는 오카다 아키후미의 부상으로 7월 12일 요미우리전부터 2루수로 전향해, 와카마쓰 쓰토무에게 승리하여 타율 .353으로 수위 타자를 획득했다. 2루수의 베스트 나인에도 선정되었다. 남은 10경기가 되었을 때, 수위 타자 타이틀을 위해 안도 모토오 감독으로부터 결장을 권유받지만, 이를 단호히 거부하고 경기에 출장했다.

1984년에도 오카다가 일시적으로 외야수로 컨버트되면서, 그대로 2루수의 레귤러를 맡았다. 그 해, 통산 1000경기 출장과 통산 1000안타를 달성했다.

1985년에 이 해 취임한 요시다 요시오 감독의 지시로 오카다와 교체하는 형태로 외야수(주로 우익수)로 전향했다[12] . 마유미는 라이온즈 시대인 1977년에는 주로 외야수로 출전했었기에 경험이 있는 포지션이었다. 외야수는 라이벌이 대형 선수나 외국인 선수인 경우가 많아, 의식적으로 장타를 노리게 되었다고 후년에 회상하고 있다[13] . 그 해 6월 9일의 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즈전(삿포로 마루야마 구장)에서 세컨드 주자였던 마유미는 전 동료인 와카나와 홈에서 충돌하여, 좌측 늑골 불완전 골절로 1개월 정도 전선을 이탈하지만[14], 1번 타자로서, 타율 .322(리그 5위), 자기 최다인 34홈런, 84타점의 좋은 성적으로 리그 우승에 기여, 외야수의 베스트 나인에도 선정되었다(이 수상을 통해, 크라운 시대와 합쳐서, 3개의 포지션에서 베스트 나인을 수상했다. 3포지션에서의 베스트 나인 수상은 오치아이 히로미쓰에 이어 역대 2번째였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공교롭게도 옛 소속팀 라이온즈와의 대결이 되었고, 전 동료인 히가시오와의 대결도 있었다. 시리즈에서도 페넌트 레이스의 기세를 그대로 타율 .360, 2홈런으로 활약, 2리그 분열 후 처음으로 일본 제일에 기여하여 우수 선수상에도 선정되었다.

1986년에는 7월 6일의 대 요미우리전(고시엔)에서 미즈노 유진으로부터 본인 두 번째의 5경기 연속 홈런을 기록했다. 해당 홈런은 한신 구단 통산 4500번째 홈런이었다[15] . 그 해에는 2년 연속 타율 3할을 기록, 홈런도 28개 날렸다. 이 시즌의 가케후 마사유키 부상 이탈 중에는 마유미가 3루수로 뛰었다.

1987년에는 10월 13일의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진구 구장)에서 아라키 다이스케로부터 통산 41번째(센트럴 리그에서는 38번째)의 1회 선두 타자 홈런을 기록했다. 해당 기록은 역대 2위이고, 센트럴 리그만의 기록으로는 리그 최다이다.

1988년에는 본인 두 번째의 전 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또한 그 해에는 개인 사무소로서 "유한회사 오피스 마유미"를 설립했다.

1989년 7월 23일의 대 요미우리전(고시엔)에서 쿠와타 마스미로부터 홈런을 날려 통산 250홈런을 달성했지만, 12년간 이어오던 100경기 출장이 끊어졌다.

1989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마유미보다 2살 연상인 사노 센코가 은퇴하여 팀 최고령 선수가 되었고, 이듬해 1990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마유미보다 3살 연하이지만 한신 입단은 4년 빠른 쿠도 가즈히코가 은퇴하면서, 마유미가 1979년에 한신으로 이적했을 시점에서 한신에 재적하고 있던 선수가 아무도 없게 되어, 이적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1995년의 은퇴까지 마유미가 팀 재적 최선임 선수가 되었다.

1992년 이후에는 신조 츠요시·가메야마 쓰토무·쿠지 테루요시 등의 대두로 대타 중심의 출전이 되었다. 그 해에는 대타 만루 홈런을 날리는 등 활약하여, 한신에서 유일한 팬 투표로 올스타 출전을 달성했다. 또한, 통산 3000루타도 달성하고 있다.

1994년에는 대타의 비장의 카드로, 대타 역전 만루 홈런을 날리는 등 활약했다. 대타로 17안타·30타점의 승부 근성을 발휘했다. 그 해의 대타 30타점은 일본 기록이다.

1995년 시즌에는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만족스러운 자체 훈련을 할 수 없어, 급하게 조정하는 결과 다리 근육 파열을 겪어 한신 이적 후 처음으로 개막을 2군에서 맞이했다. 부상이나 조정 실패의 영향인지 타격이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 결과 2군 강등도 자주 경험했고, 8월 초에는 다시 다리 근육 파열로 3번째 2군 강등, 그리고 시즌 말 프런트와 협의, 구단은 은퇴 경기나 세레모니도 준비하여 은퇴를 권했지만, 마유미는 이를 굳게 거절하고 현역에 집착했다. 협상은 결렬되었고, 다른 구단도 획득 의사를 보이지 않아, 그대로 현역에서 은퇴했다[16] . 이 해 시즌 개막 전 한신·아와지 대지진의 영향으로 자택에는 피해가 없었지만 고시엔·나루오하마 구장까지의 이동이 어려워, 오토바이로 통근[17], 젊은 선수들과 함께 선수 기숙사 호후소에서 숙식하는 경우가 있었다.

3. 야구 해설자·지도자 경력

은퇴 후 아사히 방송, 선 텔레비전, 닛칸 스포츠에서 야구 해설위원 및 평론가로 활동하였다. 2000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타격 코치를 맡았고, 2002년 수석 코치로 승격하였다. 같은 해 나시다 마사타카 감독이 출장 정지 처분을 받자 감독 대행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2004년 긴테쓰와 오릭스 블루웨이브 합병으로 긴테쓰 구단이 해체되면서 코치직에서 물러났다.

2008년 시즌 종료 후 한신 타이거스 감독으로 취임하여 2011년까지 팀을 이끌었다.

3. 1. 야구 해설자 및 평론가 (1996년 ~ 1999년, 2005년 ~ 2008년, 2012년 ~ 현재)

현역 은퇴 후 아사히 방송(ABC)·선 텔레비전(SUN)의 야구 해설자, 닛칸 스포츠 야구 평론가를 역임했다.[18]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의 타격 코치(2000년 ~ 2001년) 및 수석 코치(2002년 ~ 2004년)를 역임했다. 2002년 8월 16일에는 출장 정지 처분을 받은 나시다 마사타카 감독을 대신하여 감독 대행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다시 아사히 방송·선 TV의 야구 해설가, 닛칸 스포츠의 야구 평론가로 복귀했다.

2012년부터 현재까지 아사히 방송·선 TV의 야구 해설가, 닛칸 스포츠의 야구 평론가로 다시 활동하고 있다.

3. 2.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코치 (2000년 ~ 2004년)

아사히 방송, 선 텔레비전, 닛칸 스포츠 등에서 야구 해설위원 및 평론가로 활동했던 마유미 아키노부는 2000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의 타격 코치로 부임했다. 2002년에는 수석 코치로 승격했고, 같은 해 8월 16일에는 출장 정지 처분을 받은 나시다 마사타카 감독을 대신하여 감독 대행을 맡기도 했다. 2004년 긴테쓰와 오릭스 블루웨이브의 합병으로 긴테쓰 구단이 해체되면서 코치직에서 물러났다.[18]

3. 3. 한신 타이거스 감독 (2009년 ~ 2011년)

2008년 시즌 종료 후, 전임 감독이었던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한신 타이거스의 감독직을 구단으로부터 요청받아 수락, 10월 27일부로 정식 취임했다.[18] 등번호는 본인이 희망한 대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전신인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입단 당시의 2번, 한신 선수 시절의 7번을 합한 72번으로 결정했다.

취임 첫 해인 2009년에는 팀의 최강 계투진인 ‘JFK’의 일원이었던 구보타 도모유키를 선발로 전향시키고, 아라이 다카히로의 수비를 1루에서 다른 곳으로 변경했다. 또한, 이마오카 마코토를 1루수로, 케빈 멘치를 우익수로 고정했지만 성적이 좋지 않았다. 자신의 생일이기도 한 7월 12일에는 팀의 자력 우승 가능성이 없어졌다. 그러나 시즌 도중에 입단한 크레이그 브라젤의 활약과 도리타니 다카시, 아라이의 후반기 복귀, 그리고 입단 이후 부진했던 노미 아쓰시를 에이스로 성장시킨 덕분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3위 경쟁을 펼쳤다. 하지만 결국 최종전(10월 9일)에서 야쿠르트에게 패하며 4위에 머물러 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0년에는 전년도와는 대조적으로 팀 타선이 호조를 보이며 단일 리그 시대를 제외하면 구단 최고 성적인 팀 타율(.2895)을 기록했다. 3할 대 타율을 기록한 타자 5명, 90타점 이상을 기록한 타자 5명(그 중 100타점 이상은 3명), 팀 안타 1,458개를 기록하는 등 60년 만에 센트럴 리그 신기록을 경신했다. 올스타전 직전에는 리그 선두로 올라섰지만, 8월과 9월에는 2개월 연속으로 선두 자리를 내줬다. 특히 나고야 돔에서의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상대 전적에서 2승 10패로 매우 부진했던 것이 영향을 미쳐 정규 페넌트레이스에서는 2위를 기록했다.

2011년에는 2년 계약을 맺었으나, 그 해 시즌은 새 공인구(일명 통일구)의 영향으로 타선이 전년도에 비해 좋지 않았고, 6월에는 최하위로 떨어지기도 했다. 같은 달에 열린 주주총회에서는 주주들로부터 기용법이나 감독 연임과 관련된 발언도 있었다. 이후 한때 2위로 순위를 올렸지만 3위 경쟁을 하게 되었다. 9월에는 순위에 관계없이 다음 시즌에도 연임될 것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일부에서는 감독 연임 요청이 나왔다는 내용의 보도가 나왔지만, 사카이 신야 구단주는 연임 요청을 부인했다. 그러나 연임에 대한 팬들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9월 말에 열린 경기에서 메가폰이 관중석에서 내던져지는 소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팀은 4위로 떨어지면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출전권을 놓고 경쟁했지만, 성적은 오르지 않았다. 결국 10월 16일에는 팀이 2년 만에 B클래스(4위 ~ 6위)를 기록했고, 같은 날 정규 시즌 4위로 확정되어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하지 못했다는 책임을 물어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010년 9월 9일 주니치 드래건스전에서는 연장 10회말에 크레이그 브라젤의 퇴장 처분이 내려졌지만, 야수를 모두 사용한 상태여서 교체 요원이 없는 사태가 벌어져 투수 니시무라 켄을 외야수로 기용했다. 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2011년 9월 23일에도 위와 비슷한 상황에서 니시무라가 대주자로 출전했다. 투수 작전은 투수 코치 쿠보 야스오(고등학교 5년 후배)에게 맡겼다.

; 감독으로서의 성적

연도구단순위경기승리패전무승부승률게임차
홈런

타율

방어율
나이
2009년한신4위14467734.47924.5106.2553.2856세
2010년2위14478633.5531.0173.2904.0557세
2011년4위14468706.4939.080.2552.8358세
통산: 3년43321320713.507A클래스 1회, B클래스 2회



; 포스트 시즌

연도구단대회명대전 상대승패
2010한신센트럴 클라이맥스 시리즈
1st 스테이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센트럴 리그 3위)
0승 2패


4. 주요 기록 및 수상

홈런팀
타율팀
방어율나이2009년한신4위14467734.47924.5106.2553.2856세2010년2위14478633.5531.0173.2904.0557세2011년4위14468706.4939.080.2552.8358세통산: 3년43321320713.507A클래스 1회, B클래스 2회



※통산 성적에는 2002년 긴테쓰에서의 감독 대행 1경기 (패전) 포함

; 포스트 시즌 기록

연도구단대회명대전 상대승패
2010년한신센트럴 클라이맥스 시리즈
1st 스테이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센트럴 리그 3위)
0승 2패



; 선수 첫 기록



; 선수 획기적인 기록

; 선수 기타 기록

전 선두 타자 홈런
월일상대 구단상대 투수구장비고
11978년8월 9일한큐야마다 히사시니시쿄고쿠
21978년8월 22일닛폰햄사에키 가즈시고라쿠엔
31978년8월 27일한큐이나바 미츠오니시노미야
41979년5월 4일야쿠르트이하라 신이치로고시엔사이클 히트
51979년5월 20일주니치후지사와 고야나고야
61979년6월 6일다이요다카하시 가즈히코고시엔
71979년7월 1일히로시마기타벳푸 마나부히로시마 시민
81979년8월 12일주니치도조 데루니시쿄고쿠
91980년4월 23일다이요사이토 아키오요코하마
101980년6월 16일히로시마이케타니 고지로히로시마 시민
111980년6월 19일요미우리에가와 스구루고시엔
121980년10월 12일주니치도 유지로나고야더블헤더 제1경기
131980년10월 12일주니치호시노 센이치나고야더블헤더 제2경기, 2경기 연속
141981년8월 19일야쿠르트오바나 다카오진구
151981년9월 2일주니치호시노 센이치고시엔
161981년9월 6일야쿠르트이하라 신이치로진구
171982년9월 4일요미우리에가와 스구루고시엔
181982년9월 13일요미우리니시모토 세이고라쿠엔
191983년7월 7일다이요엔도 가즈히코요코하마
201983년7월 13일요미우리사다오카 쇼지고시엔
211983년8월 23일야쿠르트가지만 겐이치진구
221983년9월 14일요미우리사다오카 쇼지고라쿠엔
231983년10월 21일주니치고마츠 다츠오나고야
241984년7월 16일히로시마오노 유타카히로시마 시민
251984년7월 17일주니치도 유지로고시엔2경기 연속 (2번째)
261984년8월 29일야쿠르트이모토 다카시고시엔
271984년9월 7일주니치곽원지고시엔
281984년9월 12일다이요가네자와 지오요코하마세 리그 타이기록
291984년9월 15일야쿠르트다카노 히카루고시엔2경기 연속 (3번째)
301985년4월 14일히로시마가와구치 가즈히사히로시마 시민
311985년7월 2일야쿠르트오바나 다카오진구
321985년7월 10일야쿠르트가지만 겐이치고시엔
331985년8월 11일주니치소다 고지헤이와다이
341985년8월 22일다이요마에바라 테츠아키요코하마
351985년8월 28일히로시마다카기 노리히로고시엔
361986년4월 10일야쿠르트가지만 겐이치진구[37]
371986년5월 1일야쿠르트오바나 다카오고시엔
381986년6월 22일주니치히라누마 사다하루고시엔
391987년8월 11일요미우리미즈노 유진고라쿠엔[38]
401987년9월 3일다이요아이카와 히데아키고시엔
411987년10월 3일야쿠르트아라키 다이스케진구[39]

4. 1. 타이틀



마유미 아키노부 타격 성적
연도소속 팀경기 수타석타수득점안타2루타3루타홈런루타타점도루도루자희생 번트희생 플라이볼넷고의4구사구삼진병살타타율출루율장타율OPS
1973태평양
크라운
200000000000000000----------------
19742311104200020110010050.200.273.200.473
19757868611619201248542050062.311.364.393.757
19761837362410052000010030.111.135.139.274
197711629527637729161011421892800355.261.280.366.646
197811844841868117133816038345811833427.280.314.383.696
1979한신1255595175514215313202512014423620849.275.321.391.711
1980113512459791311542924174205554201664.285.343.525.868
1981111494444641211531318136267713963488.273.335.408.742
19821305545157515121215221551156429306813.293.328.429.758
1983112493448771582232325577137523771549 .353 .402.569.971
19841174754306912322527236641534239506911.286.344.549.893
1985119557497108160322342988485305631525.322.392.600.991
1986123558512781573122827660912042427711.307.362.539.901
198711950045560123181232125343014430553.270.334.466.800
1988130516478451291701719767730531328513.270.314.412.726
1989953112793669811612737210130315214.247.322.455.777
1990792762473275100171364930042431433.304.362.551.913
19911023192883877901713761100130104612.267.335.476.811
19926810910172120126120002531225.208.248.257.505
199363706321410221100001501192.222.286.333.619
199465766351730226300005810133.270.329.413.742
19952532270600064010140090.222.313.222.535
통산:23년20517270662495718882663029230908862007355405345017953139.285.338.466.805

4. 2. 수상

4. 3. 기타 기록

홈런팀
타율팀
방어율나이한신4위14467734.47924.5106.2553.2856세2위14478633.5531.0173.2904.0557세4위14468706.4939.080.2552.8358세통산: 3년43321320713.507A클래스 1회, B클래스 2회



※통산 성적에는 2002년 킨테츠에서의 감독 대행 1경기 (패전) 포함

; 포스트 시즌

연도구단대회명대전 상대승패
한신센트럴 클라이맥스 시리즈
1st 스테이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센트럴 리그 3위)
0승 2패



; 첫 기록


; 획기적인 기록
; 기타 기록

전 선두 타자 홈런
월일상대 구단상대 투수구장비고
11978년8월 9일한큐야마다 히사시니시쿄고쿠
21978년8월 22일닛폰햄사에키 가즈시고라쿠엔
31978년8월 27일한큐이나바 미츠오니시노미야
41979년5월 4일야쿠르트이하라 신이치로고시엔사이클 히트
51979년5월 20일주니치후지사와 고야나고야
61979년6월 6일다이요다카하시 가즈히코고시엔
71979년7월 1일히로시마기타벳푸 마나부히로시마 시민
81979년8월 12일주니치도조 데루니시쿄고쿠
91980년4월 23일다이요사이토 아키오요코하마
101980년6월 16일히로시마이케타니 고지로히로시마 시민
111980년6월 19일요미우리에가와 스구루고시엔
121980년10월 12일주니치도 유지로나고야더블헤더 제1경기
131980년10월 12일주니치호시노 센이치나고야더블헤더 제2경기, 2경기 연속
141981년8월 19일야쿠르트오바나 다카오진구
151981년9월 2일주니치호시노 센이치고시엔
161981년9월 6일야쿠르트이하라 신이치로진구
171982년9월 4일요미우리에가와 스구루고시엔
181982년9월 13일요미우리니시모토 세이고라쿠엔
191983년7월 7일다이요엔도 가즈히코요코하마
201983년7월 13일요미우리사다오카 쇼지고시엔
211983년8월 23일야쿠르트가지만 겐이치진구
221983년9월 14일요미우리사다오카 쇼지고라쿠엔
231983년10월 21일주니치고마츠 다츠오나고야
241984년7월 16일히로시마오노 유타카히로시마 시민
251984년7월 17일주니치도 유지로고시엔2경기 연속 (2번째)
261984년8월 29일야쿠르트이모토 다카시고시엔
271984년9월 7일주니치곽원지고시엔
281984년9월 12일다이요가네자와 지오요코하마세 리그 타이기록
291984년9월 15일야쿠르트다카노 히카루고시엔2경기 연속 (3번째)
301985년4월 14일히로시마가와구치 가즈히사히로시마 시민
311985년7월 2일야쿠르트오바나 다카오진구
321985년7월 10일야쿠르트가지만 겐이치고시엔
331985년8월 11일주니치소다 고지헤이와다이
341985년8월 22일다이요마에바라 테츠아키요코하마
351985년8월 28일히로시마다카기 노리히로고시엔
361986년4월 10일야쿠르트가지만 겐이치진구[37]
371986년5월 1일야쿠르트오바나 다카오고시엔
381986년6월 22일주니치히라누마 사다하루고시엔
391987년8월 11일요미우리미즈노 유진고라쿠엔[38]
401987년9월 3일다이요아이카와 히데아키고시엔
411987년10월 3일야쿠르트아라키 다이스케진구[39]


5. 기타

애칭은 '''조'''(ジョー일본어)라고 불리며, 미국으로 야구 유학을 갔던 당시에는 미국인에게 ‘Mayumi’라고 발음하기 어렵다고 하여 ‘Joe’라고 불렸다. 그의 자서전에는 복싱 선수를 배경으로 인기를 끌었던 만화 《내일의 죠》와는 전혀 관계없다고 나와있다.[40]

참조

[1] 웹사이트 プロフィール - オフィス真弓 http://office-mayumi[...] 2018-03-31
[2] 웹사이트 高校時代 http://office-mayumi[...]
[3] 서적 野球小僧 6月号 2012 白夜書房 2012-06-01
[4] 웹사이트 ノンプロ時代 http://office-mayumi[...]
[5] 웹사이트 西鉄-太平洋時代 http://office-mayumi[...]
[6] 웹사이트 アメリカ野球留学 http://office-mayumi[...]
[7] 웹사이트 太平洋-クラウン時代 http://office-mayumi[...]
[8] 기타
[9] 뉴스 もう食事の心配なし!真弓明信 新天地で張り切る https://www.sponichi[...] 1979-01-22
[10] 웹사이트 https://ykt.sega-onl[...]
[11] 웹사이트 阪神タイガース選手時代 前篇 http://office-mayumi[...]
[12] 뉴스 30年前の熱気よ、もう一度 阪神タイガース、天地を行く(1) https://www.nikkei.c[...]
[13] 뉴스 真弓明信が今だから明かしてくれたホームランを打つための“狙い球”。 https://number.bunsh[...]
[14] Youtube 【プロ野球OBに会いに行く】若菜さんも参った!木下富雄さんの走塁【若菜嘉晴】【高橋慶彦】 https://www.youtube.[...]
[15] 웹사이트 阪神タイガース選手時代 後篇 http://office-mayumi[...]
[16] 뉴스 【9月27日】1995年(平7) 異例の4時間討議の末に…真弓明信に引退勧告 https://www.sponichi[...]
[17] 뉴스 震災年オフに引退…原付通勤も 真弓明信氏の回顧録 https://www.nikkansp[...]
[18] 뉴스 真弓・梨田「男前対決」 阪神、30日から日ハム戦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09-05-30
[19] 뉴스 阪神真弓新監督「誠心誠意戦う」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08-10-28
[20] 웹사이트 14失点大敗…また最下位、真弓虎ズタボロ http://www.sanspo.co[...] 2011-06-06
[21] 웹사이트 株主容赦なし!虎・坂井オーナーがタジタジ http://www.sanspo.co[...] 2011-06-17
[22] 웹사이트 続投!阪神・真弓監督にノルマないの? http://www.sanspo.co[...] 2011-09-13
[23] 웹사이트 真弓監督5位でも続投!南社長が明言 http://www.daily.co.[...] 2011-09-13
[24] 웹사이트 虎・総帥、真弓監督続投要請「知らん!」 http://www.sanspo.co[...] 2011-09-22
[25] 웹사이트 阪神・真弓監督へ虎党怒りのメガホン投げ http://www.sanspo.co[...] 2011-09-30
[26] 웹사이트 大事件!!阪神・坂井オーナー、ヤジられた http://www.sanspo.co[...] 2011-10-03
[27] 웹사이트 阪神決断!CS逃せば真弓監督解任!!! http://www.sanspo.co[...] 2011-10-13
[28] 웹사이트 阪神の真弓監督が辞任 CS進出消滅で http://www.daily.co.[...] 2011-10-16
[29] 웹사이트 阪神、CS消滅で真弓監督の“辞任”発表 http://www.sanspo.co[...] 2011-10-16
[30] 웹사이트 Profile http://office-mayumi[...]
[31] 웹사이트 眞弓の姓の由来 http://office-mayumi[...]
[32] 서적 俺たちのパシフィック・リーグ クラウンライター・ライオンズ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ムック
[33] 웹사이트 阪神タイガース選手時代 日本一篇 http://office-mayumi[...]
[34] 웹사이트 引退の糸井 小3の夏に見た「背番号7」に心が震えた 涙が止まらなかったトレード通告 https://www.daily.co[...] 2022-09-22
[35] 웹사이트 【ファン交歓会一問一答】原口、関西弁の女性「いいと思います」(画像6)歴代サンスポMVP大賞、新人賞の受賞者 https://www.sanspo.c[...] 産業経済新聞社 2016-11-23
[36] 웹사이트 Data | 真弓明信オフィシャルウェブサイト http://office-mayumi[...]
[37]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1986年5月5日号
[38]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1987年9月7日号
[39] 웹사이트 Data | 真弓明信オフィシャルウェブサイト http://office-mayumi[...]
[40] 문서 1회 : 홈런, 3회 : 단타, 5회 : 삼진, 7회 : 2루타, 9회 : 3루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